🌿TIL 21

✏️ TIL 211229

알게된 것 LF vs CR 이거 맨날 헷갈렸는데 책에 나와서 정리가 돼따. 일단 개념은 타자기에서 나온 것 LF(Line Feed, \n): 커서를 정지한 상태에서 종이를 한 줄 올림 CR(Carriage Return, \r): 종이를 움직이지 않고 커서를 맨 앞줄로 이동 전위증가/감소, 후위증가/감소 후위증가/감소만 썼지 할당을 하진 않아서 신기했다 (전위 증가/감소도 잘 안씀). 오늘은 이렇게 알고넘어가는데 자주 안써서 또 까먹을거같기두 하다^_^let x =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 re..

TIL 2021.12.30

✏️ TIL 211227

알게된 것 db 인덱스 카디널리티란 무엇인가 트랜잭션 트랜잭션 격리 수준 오늘 한 일 db - 인덱스, 트랜잭션 자소서 작성 알고리즘 1문제 하루를 마치며 db는 어ㄹㅕ웟 reference https://mangkyu.tistory.com/96 https://itholic.github.io/database-cardinality/ https://chartworld.tistory.com/18 https://brunch.co.kr/@skeks463/27 https://joont92.github.io/db/트랜잭션-격리-수준-isolation-level/ https://sabarada.tistory.com/175

TIL 2021.12.28

✏️ TIL 211219

알게된 것 나 자신 tree shaking의 관점에서 enum대신 union type을 사용해야하는 이유(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typescript-enum-tree-shaking/ TypeScript enum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은 이유를 Tree-shaking 관점에서 소개합니다. - LINE ENGINEERING 안녕하세요. LINE Growth Technology UIT 팀의 Keishima(@pittanko_pta)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ypeScript의 enum을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은 이유를 Tree-shaking 관점에서 소개하겠습니다. engineering.linecorp.com 뜨끔한 내용 오늘 한 일 면접 준비 자소서 작성 알고..

TIL 2021.12.19

✏️ TIL 211215

알게된 것 `역페이지테이블`과 TLB 페이지드세그멘트 기법은 2번 거쳐야한다. 비트조작, 보수, 1의보수, 2의 보수, 부호 비트(MSB) 데드락이란, 데드락 발생 조건, 데드락 해결 방법, 세마포어/뮤텍스 오늘 한 일 운영체제 자소서 제출 알고리즘 하루를 마치며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까지 읽었는데, 느낌은 알겠는데 알게된 것에 쓰기에는 부족해서 1회독 하고 여러 번 읽어야겠다. 네트워크는 언제하지~~~~~~~~~~~ 로드위키 개발하고 싶다 ㅇ

TIL 2021.12.16

✏️ TIL 211213

알게된 것 context switching context switing시 캐시 무효화를 해야하는 이유 context switching시 TLB무효화를 해야하는 이유와 상황에 따라 TLB 무효화를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 프로세스 vs 스레드를 하면서 리눅스는 스레드 단위에 CPU를 할당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음 대신, 스레드에 cpu를 할당할 경우 캐시/TLB 무효화를 하지 않음 PCB 프로세스 page on-demand system call이지만 interrupt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와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인터럽트 관련 용어 (인터럽트 핸들러, 인터럽트 벡터) IPC 간단 정리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및 관련 용어 정리 오늘 한 일 부스트캠프 회고 초안 운영체제: 1/3 알고리즘 문제 풀이(h..

TIL 2021.12.13

✏️ TIL 211210

알게된 것 priority queue vs heapq 파이썬 내부적으로 priority queue도 heapq로 구현되어 있지만 priority queue의 경우 스레드 세이프해서 시간적인 측면에서는 heapq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파이썬 GIL로 인해서 하나의 스레드가 자원을 독점하므로 일반적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할 때에는 heapq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priorityqueue의 장점이 없다는 말씀~!) 자료구조 Array vs LinkedList Stack vs Queue Heap Tree Hash Table Graph B-Tree vs B+Tree vs B*Tree 이진힙 vs 이진 탐색 트리 Red-Black Tree vs AVL Tree 오늘 한 일 오전 자료구조 오후 자소서 작..

TIL 2021.12.11

✏️ TIL 211209

알게된 것 input 크기에 따른 알고리즘 풀이 방법 (https://www.acmicpc.net/problem/17484, https://www.acmicpc.net/problem/17485) -> 곧 포스팅 예정 약 11개월 전에 진행한 프로젝트(로드위키)를 다시 리팩토링하려고 시도하면서 문서화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깨달으면서 라이브러리 의존성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을 또 느꼈습니다. expander control 방법! (접기/펼치기 만들기) https://maeng2world.tistory.com/466 오늘 한 일 알고리즘 문제 풀이 및 정리 로드위키 git wiki에 깃컨벤션 정리 git fork 사용법 정리 로컬에서 실행하기 자기소개서 초안 하루를 마치며 원래 til를 쓰며 하루를 마무..

TIL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