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 vs CR 이거 맨날 헷갈렸는데 책에 나와서 정리가 돼따. 일단 개념은 타자기에서 나온 것
LF(Line Feed, \n): 커서를 정지한 상태에서 종이를 한 줄 올림
CR(Carriage Return, \r): 종이를 움직이지 않고 커서를 맨 앞줄로 이동
전위증가/감소, 후위증가/감소
후위증가/감소만 썼지 할당을 하진 않아서 신기했다 (전위 증가/감소도 잘 안씀).
오늘은 이렇게 알고넘어가는데 자주 안써서 또 까먹을거같기두 하다^_^
let x =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할당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5`
폴스루(fall through)
저어기 Fetch finished 문은 무시해주세여 어떤 페이지 콘솔창에서 하다보니 저것도 찍혀버렸구먼요
break문이 없을 때 switch문을 탈출하지 않고 switch문이 끝날 때까지 이후의 모든 case문과 default문을 실행=> case 내부에 break를 달아야하는 이유!
해당 case에서 바로 default까지 실행하는 줄 알았는데, 그 밑까지 가는 줄은 몰랐따.. . . . .. 평소에 case문을 쓸 일이 없었던 것두 있고, 배울 때부터 무조건 break문을 하지 않으면 default도 실행되므로 break를 붙여야한다고 배워서 그렇게 했는데 요런 이유가 있었다.
오늘 한 일
알고리즘 1문제
모던자바스크립트 6~8장
하루를 마치며
데이터타입 부분이랑 제어문 부분인데, 책이 두꺼워서 생각보다 와 이런게 있구나 싶은 내용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