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Network

0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 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하)

🥭맹2 2021. 4. 30. 08:10

강의가 다른 강의에 비해 길어 (상) (하)로 나누어서 정리했습니다.

강의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s5kIGnaNFvM&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index=6

1. 서브넷 마스크란?

클래스풀한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지 지정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IP 주소

사설 IP와 공인 IP

사설 IP 에서 공인 IP를 거쳐 인터넷과 통신하게 됩니다.

1. 공인 IP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망과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2. 사설 IP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 주소

  •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장비들이 무조건 공인 IP로 바뀌어서 인터넷(외부세상,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함.

NAT란 ?

IP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같은 네트워크 대역 안에서 사설 IP를 사용하고, 다른 네트워크 대역과 통신할 때 공인 IP를 사용하는 방법

  • nat table에 존재하지 않는 패킷이 공유기로 들어올 때는 공유기에서만 받음.

특수한 IP 주소

1. 0.0.0.0

  • 나머지 모든 IP
  • 네트워크 대역을 제외한 모든 나머지

2. 127.0.0.1

  • 나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3. 게이트웨이 주소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문 == 게이트웨이

  • 일반적으로 공유기의 IP 주소
  • 일반적으로 가장 낮거나 높은 것을 많이 씀

기본 게이트웨이는 나와 인터넷 사이에 있는 문 같은 존재 ~!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는 나라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용도이고,
  • 기본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들어오는 문
    -> 즉,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지 않으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음.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이 3가지가 설정되어야 인터넷을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