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링크 : www.youtube.com/channel/UCl9zTDOvOxdCfUt1HqVwwdg
오늘은 tracert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을 따라해보았습니다.
Tracert(Trace Route)란?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
쉽게 경로 추적툴이라고 볼 수 있음(ICMP를 사용)
- ICMP는 어제 배운 ... 멀리 있는 곳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 !
Tracert 사용하기
1. cmd창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입력하자
> tracert 8.8.8.8
8.8.8.8은 google DNS 서버의 IP 주소임
2. cmd창에 나온 결과를 살펴보자
1~10이 의미하는 것은 우리집
에서 google DNS 서버
까지 가는데 거쳐간 네트워크 LAN 대역들의 주소 !
- 1의 경우 우리 집에 있는 ipTIME을 의미함 ㅎㅋ
결국 10개의 네트워크 대역을 거치면 google DNS 서버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
+ 홉
: 몇개의 네트워크 대역을 넘어갔는지 ,, 고런 단위를 뜻함
+ 주로 10~15개 정도 내에서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음.
+ * * *
으로 나타나는 것은 IP 주소를 공개하지 않은 것 (방화벽 같은 것으로 차단) 이라서 추적은 못하지만 네트워크 통신은 가능하게 해준 곳
요런 네트워크 대역들을 이어준 것이 WAN이고 결국 이것이 인터넷임
참고로 http://whois.kr/kor 를 이용하면 IP주소를 이용해서 실제 주소를 찾을 수 있음 !
끄읏 (●'◡'●)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 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하) (0) | 2021.04.30 |
---|---|
03.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1.03.14 |
02. 네트워크의 기준! 네트워크 모델 (0) | 2021.03.13 |
01-2. 네트워크 실습 : Wireshark (0) | 2021.03.12 |
01. 네트워크 (0) | 2021.03.10 |